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카카오톡 업데이트 방지 방법을 알고 싶으신가요? 업데이트 직후 갑작스러운 오류나 불편한 UI 변경이 발생할 수 있어, 많은 분들이 자동업데이트를 끄고 수동으로 관리하는 방식을 찾습니다. 아래에서는 안드로이드·iOS 환경에서 업데이트를 차단하고 직접 관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.
📌 왜 업데이트 방지가 필요할까?
- 버그 위험: 새 버전에서 알림 오류, 대화목록 버그 등이 발생할 수 있음
- UI 불편: 디자인이나 버튼 위치가 바뀌어 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음
- 구형 기기: 성능 저하, 발열, 배터리 소모 증가 가능성
단, 보안 패치가 늦어질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수동 업데이트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📱 안드로이드에서 업데이트 방지
앱별 자동업데이트 끄기
- Google Play 스토어 실행 → 카카오톡 앱 상세 페이지 진입
- 우측 상단 메뉴(⋮) → 자동 업데이트 사용 해제
- 이제 카카오톡은 수동 업데이트로만 변경됩니다
전체 자동업데이트 차단
- Play 스토어 → 프로필 → 설정 → 네트워크 기본 설정
- 앱 자동 업데이트 → 사용 안 함 선택
다른 앱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으므로 보안에 유의해야 합니다.
갤럭시 사용자 주의
Galaxy Store에서도 앱 자동 업데이트를 “사용 안 함”으로 설정해야 완전히 차단됩니다.
🍎 iOS에서 업데이트 방지
- 설정 앱 실행 → App Store
- 앱 업데이트 항목을 끄기
iOS는 개별 앱 차단이 어렵습니다. 전체 자동 업데이트를 꺼두고 필요할 때 App Store → 업데이트 메뉴에서 직접 실행하세요.
🛡️ 수동 관리 체크리스트
- 업데이트 전 대화 백업: 카카오톡 → 설정 → 대화 → 대화 백업
- 신버전 리뷰 확인: 앱스토어·커뮤니티에서 오류 보고 여부 확인
- 필요할 때만 업데이트: 버그가 수정되거나 기능 개선이 확실할 때 실행
- 정기 보안 점검: 분기 1회는 최신 버전 유지
✔️ 요약
- 안드로이드: 앱별 자동업데이트 해제가 가장 효율적
- iOS: App Store 전체 자동업데이트를 꺼두고 직접 관리
- 보안 패치와 안정성 균형을 위해 정기 수동 업데이트 필수
관련 글
반응형